본문 바로가기
경제 사회

경기 동향 파악 생산, 출하, 재고의 변화

by Remember Titans 2023. 12. 12.
728x90
728x90

생산, 출하, 재고, 즉, 산업생산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경기 동향을 파악한다.

  1. 광공업 생산 규모가 커지면 경기가 좋아진다. 반대 방향도 마찬가지이다.
    • 경기가 확대되면 광공업 생산 규모가 커진다.
    • 경기가 위축되면 광공업 생산 규모가 작아진다.
  2. 출하도 그렇다.
    • 출하란 완제품이 팔려 나가는 것이다.
    • 경기가 확대되면 출하 규모가 늘어난다.
    • 경기가 위축되면 출하 규모가 줄어든다.
  3. 재고 역시 경기와 함께 움직인다.
    • 재고란 기업이 생산한 완제품 또는 원자재를 후일 내다 팔거나 생산하기 위해 창고에 보관하는 것이다.
    • 경기가 확대되면 재고가 줄어들며 재고 증가율이 완만해진다.
    • 경기가 위축되면 재고 수량이 늘거나 재고 증가율이 가팔라진다.
  4. 보통 출하와 재고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 경기가 나빠지면 제품, 상품 판매가 부진해지므로 출하가 줄어든다. 
    • 대신 창고에 쌓이는 물량이 많아지므로 재고는 늘어난다.
    • 출하 규모는 경기와 같은 방향으로, 재고 규모는 경기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 하지만 경기가 좋을 때 기업이 재고를 늘리는 전략이 있을 수 있다. 기업의 전략에 따라 유동적이므로 재고 증가세만 보고 경기 하강을 점칠 수는 없다.
      • 점점 늘어나는 소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 치열한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경쟁에 대비하기 위하여(시장점유율은 기업의 사활이 걸린 중요한 문제다)
  5. 따라서 광공업 생산과 출하, 그리고 재고가 늘어나는지 줄어드는지를 보면 경기 방향을 알 수 있다.
    • 우리나라는 통계청이 전체 산업과 광공업에 걸쳐 생산 출하 재고 동향을 지수로 만든다.
    • 통계청은 전산업생산지수, 광공업생산지수, 생산자제품출하지수, 생산자제품재고지수 등을 만들어 추이를 집계하고 매월, 매분기, 매년 '산업활동동향'이라는 제목으로 보고서를 발표한다.
    • 언론사들은 '산업활동도향'을 보도자료로 받아 기사를 만든다.
      • 기사의 제목 예시: 생산, 투자 두 달째 뒷걸음... 소비만 홀로 증가
  6. 호황과 불황, 언제 오고 가는가?
    • 경제는 장기간에 걸쳐 호황과 불황을 반복한다. 이를 경기 순환 또는 경기 변동이라 부른다.
    • 호황, 정점, 후퇴, 불황, 저점, 회복기로 이어지며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여러 국면이 나타난다. 
    • 심한 불황을 공황이라 부른다.
    • 공황 중에서도 침체 강도가 세고 범위가 넓은 것을 대공황이라 부른다.
    • 50년마다 호황과 불황을 되풀이한다는 콘트라티에프 파동설이 있다.
    • 20년마다 호황과 불황을 되풀이한다는 쿠즈네츠 파동설이 있다.
    • 파동설의 정설은 없지만 경기가 순환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시점은 정확히 알 수 없다.
  7. 경기 흐름을 읽는 일은 정부, 기업, 가계 모두에 매우 중요하다.
    • 정부가 경기 흐름을 잘못 읽어 경제정책이 실패한다면 국민경제가 불황을 맞는다.
    • 기업 역시 존립이 위태로울 수 있다.
    • 가계 역시 결정에 따라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 문제는 경기 흐름을 파악하거나 예측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데 있다.
    • 경제지표나 경기지표를 보아 경기 흐름을 쉽사리 파악할 수 있다. 통계청, 관세청, 한국은행 등이 있으나 통계청이 공식기관이다.
  8.  경기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 통계 자료를 검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 그 자료를 확인하여 투자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 자료 발표 시기를 확인한다면 뉴스 보다 한발 빠르게 정보를 알 수 있다.
728x90
728x90

댓글